Kafka3 Kafka + debezium mariadb connector 구축 ( kraft모드 + debezium 3.1버전) 환경mariadb : 11.7kafka-connect : debezium connect : 3.1.2kafka: cp-kafka 7.9.1 버전 이미지, kraft모드mariadb : 11.7 참고debezium 2.9이상부터는 mariadb connector와 mysqcl connector가 분리되었습니다. 2.7버전 이상부터 debezium은 docker-hub가 아닌 quay.io를 통해 배포됩니다. 1. 컨테이너 생성mairadb, kafka, kafka-ui(선택), kafka-connect 컨테이너를 생성합니다.services: mariadb: image: mariadb:latest container_name: seqeunce-mariadb-server e.. 2025. 6. 5. [ 시퀀스 백오피스 ] 왜 나는 백오피스 서버에 API 대신 DB를 바라보게 했는가 – 실시간 알림 설계 고민기 🟦 Situation (상황)저희 서비스 백오피스 서비스에는 신고가 들어오면 알림을 보내고 처리해야 하는 시스템이 필요했습니다.처음 설계는 단순했습니다. 신고가 발생하면 서비스 서버가 관리자 서버의 API를 호출해서 알림을 전송한다.익숙한 방식이었고, 여러 프로젝트에서 사용해왔던 구조였습니다.하지만 서비스를 설계하면서 한 가지 의문이 생겼습니다."굳이 직접 서버간에 통신해야 할까?"어차피 서비스는 신고 데이터를 DB에 저장하고,관리자 서버는 그 정보를 활용해 알림만 보내면 되지 않을까? 🟨 Task (과제)이 질문을 시작으로 다음과 같은 고민이 생겼습니다.API 방식은 관리자 서버와 서비스 서버 간의 결합도가 높다.관리자 서버의 로직 변경이 곧 서비스 서버 코드 변경을 유발할 수 있고, 이는 두 시스.. 2025. 6. 4. MSA에서 말하는 '느슨한 결합'이란? 📜서론MSA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느슨한 결합(Loose Coupling)이라는 개념을 여러 번 접하게 되었습니다."서비스 간 결합도를 낮춘다.""서비스 간 의존성을 낮춘다.""서비스 간 에러가 전파되지 않는다." 이처럼 다양한 표현이 등장하다 보니 다소 혼란이 왔습니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MSA에서 말하는 서비스 간 느슨한 결합의 정확한 의미와 MSA가 이를 어떻게 실현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서비스 간에는 최소한의 종속성을 가진다"MSA에서는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서비스 간의 종속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핵심입니다.즉, 하나의 서비스가 변경되더라도 다른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 합니다. 최소한의 종속성이란 무엇인가?"최소한의 종속성"이란, 서비스 간 직접.. 2025. 3. 6. 이전 1 다음